빙하와 빙산 누가 더 클까?
빙하 氷河 glacier, 빙산 氷山 iceberg
빙산은 얼음으로 덮인 큰 산이고 빙하는 거기서 떨어져 나온 조각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의외로 많다. 사실은 그 반대이다.
눈이 오랫동안 쌓여 다져져 육지의 일부를 덮고 있는 얼음 층이 빙하이고
육지빙하로부터 분리되어 해면을 표류하는 얼음덩어리가 빙산인 것이다.
빙하는 어떻게 만들어질까?
부가부 빙하
엔젤빙하 호수에서 빙편을 들고 있다.
겨울에 내리는 눈의 양이 그 다음해 여름에 녹는 양보다 더 많은 지역이라면 눈이 점점 쌓여갈 것이다. 눈이 누적됨에 따라 위에 쌓인 눈의 하중에 의해 바닥의 눈은 재결정되어 단단한 얼음이 된다. 이 누적된 눈과 얼음이 두꺼워져 중력의 영향으로 움직여 빙하가 된다.
빙하는 주로 차가운 고위도 지방에 있지만 높은 고도에서 온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고산지대에서도 발견된다.
빙하 말단이 앞으로 전진 하면 빙하가 커지는 것이고 뒤로 후퇴하면 작아지는 것이다.
롭슨빙하의 후퇴
버그빙하
빙하는 크게 세 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는데 빙하는 계곡을 채우면서 천천히 흐르는 곡빙하와 극지방의 넓은 지역을 덮고 있는 빙상(ice sheet), 그리고 주로 산꼭대기를 덮으면 빙모(ice cap)라고 부른다. 지구상에서 빙하가 차지하는 면적은 육지의 약 10%이고 이들 중 대부분은 남극대륙과 그린란드에 넓은 빙상(ice sheet)으로 존재한다. 빙하가 저장하고 있는 담수는 전체 민물의 75%를 차지하고 있으며 지구의 빙하가 모두 녹으면 해수면이 약 60미터 정도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산지 빙하의 종류
권곡빙하-산사면의 움푹 파인 지형
계곡빙하- 권곡빙하가 발달하여 계곡까지 흘러나온 빙하
엔젤 빙하
피오르드 빙하- 해안에 인접한 산맥들에 빙식작용으로 깊이 파여 바닷물이 길게 침투한 계곡에 놓여있는 빙하로 이런 지형이 빙하가 후퇴하고 지형이 융기하면 협곡이 만들어진다.
산록빙하- 하나 이상의 계곡빙하들이 모여서 넓은 빙하.
롭슨빙하
대륙빙- 대륙규모의 크기를 가지며 밑에 놓인 육지를 압도하는 빙하
1982년 콜롬비아 빙하는 여기에 있었다.
빙하의 흐름속도는 빠른 경우 1년에 4km 느린 경우 2m정도로 매우 느려서 그 흐름을 인지하기 어렵지만 빙하에 의한 침식 및 운반작용은 가장 강력하다.
빙하가 녹아내리고 있다
미스트 빙하가 만든 종퇴석
'해외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소주의 유원과 호구탑 (0) | 2008.05.24 |
---|---|
중국 소주(蘇州) 시내,한산사 (0) | 2008.05.24 |
[스크랩] 캐나다 (0) | 2007.02.24 |
2000년 겨울 파리 (0) | 2006.08.07 |
2002겨울 프라하 (0) | 2006.06.03 |